전체 글 28

전체 시스템 구성도

#6 전체 시스템 구성도 서버, 네트워크,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완성 했다면, 실제 환경 구성을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를 그려야 한다. 위의 그림은 간단하게 논리적으로 본 전체 시스템을 본 구성인데, 외부와 연동되는 구역인 Public에는 웹서버 2기, 외부와 직접적으로 연동되지않는 와스서버 2기, 모니터링서버 1기, 내부 DNS서버 1기, DB서버 2기 만 있는 모습으로, 여기에 서버별 소프트웨어가 웹서버에는 HTTPD, 와스서버에는 tomcat 2개씩, 모니터서버에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인 Zabbix 서버, Scouter 서버, DNS서버에는 named 를 구성한다. 위의 그림에 실제로 구성이 가능한지 모든 부분을 하나로 합쳐서 완성한 후, 스토리지와 기타 네트워크 라인을 구성하고 각 소프트웨어를 서버..

소프트웨어 구성도

#5 소프트웨어 구성도 소프트웨어는 OS 부터 그 위에 구성되는 유틸리티와 Daemon, WEB, WAS 등등을 말한다. 우리가 컴퓨터를 사게 되면, 윈도우나 리눅스를 설치해서 사용하듯이 서버도 윈도우나 리눅스를 설치해서 사용하게 된다. 물론 가상서버의경우도 OS를 지정해서 생성되게 된다. 물론 우리가 새로운 컴퓨터를 샀을때, 사용할 소프트웨어를 정리하고 위치와 파일의 사용 용량을 걱정하지는 않지만, 서버는 24시간 7일 1년을 사용하기 때문에 위치와 사용할 소프트웨어 그리고 관리를 위한 스크립트까지 전부 기록하고 정리해야한다. 서버안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와 소프트웨어들간의 연동을 보면 위의 그림과 같은데, 서버 안에는 제일 먼저 서버 OS 와 그 위에 각종 유틸리티, 그리고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와 배치잡..

서버 구성도

#4 서버 구성도 서버는 흔히 사용하는 물리 서버와 가상 서버가 있다. 하지만 결국 가상서버도 물리서버로 이루어져 있고, 관리와 구성에 따라 종류가 나뉘게 된다. 서버의 OS 에 따라서도 나뉘기도 하고, 성능과 구성에 따라 많은 구성이 바뀐다. 흔히 말해 CPU 를 2장을 쓸지 1장을 쓸지와 Disk를 RAID 카드를 이용해 안정성과 속도를 보장하는지 그리고 네트워크 카드의 속도를 1G 이상으로 사용할지 등과 그래픽카드의 사용여부 등을 위해 박스를 바꿔야 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머신런닝등의 사용으로 그래픽카드가 실장되는 4U 이상 크기의 서버도 많이 쓰이고 있다. AI 서비스를 위해 그래픽 카드를 실장할때는 OS 의 선택도 주로 Ubuntu 를 사용하게 된다. 이번에는 WEB, WAS, DB 의 단순구..

네트워크 구성도

#3 네트워크 구성도 네트워크는 논리적인 구성과 물리적인 구성을 필요로 하는데 가상 혹은 물리 네트워크를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논리적인 구성만으로도 충분하다. 다만 많은 개발사와 서버개발자들은 네트워크와 방화벽 로드벨런서의 구성을 신경쓰지 않는경우가 많은데 많은 병목과 장애를 유발할수 있는 부분이므로 항상 네트워크를 먼저 구성해야 서비스시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 물론 이런 환경을 모두 계획하여 개발자와 기타 서비스를 운영하는 리더들에게 만족할만한 구성이 되어있다면 더 좋을것이다. 물리는 서버에서 시작한다면, 서버의 수량과 서버당 사용할 포트수를 계산해야 한다는것이다. 예를 들자면 서버 1기당 서비스용, 내부연동용 따로 쓰고, NAS 같은 네트워크 스토리지용, 그리고 원격접속을 위한 ILO 등..

요구사항 분석

#2 요구사항 분석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물건을 살때처럼, 필요로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위한 요구사항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크게 서비스의 목적과 목적에 따른 성능과 서버 분산을 계획한다. 서비스 요구사항에 대한 요건정리 후, 과제를 정해 시스템을 정의하고 정리하는 부분이다. 각 항목을 간단하게 예로 나뉜다면 아래의 표와 같고, 이 요건들은 서비스의 성향과 성능을 요하는 부분들, 그리고 처리부분의 예상 성능치, 구성을 위한 각 파트들을 어떻게 해야할지 큰 부분들을 정한다고 볼 수 있다. 요구사항에 대한 내용을 보면서, 내용중 중요한 부분은 고성능을 필요하게 된다는것과 필요에 따라서 Dedicate 서버와 가상 서버를 이용 할 수 있다는것, 그리고 스트리밍서비스와 데이터 조회를 할수 ..

표준 시스템 구성도

#1 표준 시스템 구성도 서비스는 크게 3Tier 로 구분되고, WEB, WAS, DB 로 성능의 분배에 따라 구성된다. 1Tier 와 2Tier의 구성도 가능하며, 개발기와 테스트기에 적용되며 대부분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Tier 3 : 각 서비스별 인스턴스의 성능을 최대한 낼수 있고, 서버내의 단독 처리량증가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용시스에서 사용된다. Tier 2 : WEB + WAS/DB 혹은 WEB/WAS + DB 로 구성되고, 기능테스트를 위한 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 Tier 1 : WEB/WAS/DB 가 한 서버에 있으며, 개발을 위한 최소구성이고 성능의 이슈가 발생 할 수 있다. 이렇게 3 Tier 로 구성하고, Network 를 적용하면 아래의 구성도가 나오게 된다. 외부 방화..

시스템 표준 설계

Technical Architecture 소개 시스템 구성은 흔히 3tier 구성으로 웹, 와스, 데이터베이스의 구분을 하는것으로 시작이 됩니다. 여기서 외부와 내부를 나누게 되고 성능과 네트워크 사용량, 그리고 보안과 요구사항에 따라 변경이 된다. Technical Architecture 를 위한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표준 시스템 구성도 요구사항 분석 네트워크 구성도 서버 구성도 소프트웨어 구성도 전체 시스템 구성도 성능치 반영도 개발, 테스트, 배포, 연동 방화벽, 로드벨런스로드 벨런스, 데이터관리데이터 관리, 로그규칙 유지보수 기타 적용 신기술

스튜디오 바사입니다. 반갑습니다.

Studio BASA의 Project 안녕하세요 여러가지 일을 하고 있는 Technical Architecture Thomas 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여러 어플과 웹 서비스의 보이지 않는 뒷 부분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표준 설계를 기본으로 구성과 이유 관리등 기술적인 이야기와 다른 사업들, 그리고 삶의 여러 이야기를 시작해 볼게요. 잘 부탁드립니다. ====================================================================================================== 저의 Studio BASA 의 프로젝트는 이런게 있습니다. * 참고로 저의 Studio 는 사진찍는 곳의 뜻이 아니고 작업장을 뜻합니다. #1 Technical Architec..

카테고리 없음 2020.01.02